바야흐로 코로나라는 못된 바이러스가 창궐하는 바람에 대부분의 전 세계인이 방구석에 틀어박힐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물론 이 와중에 꽃놀이다 제주도 여행이다 등으로 바이러스를 전파하며 열심히 정부 지침을 따라 외출을 줄이는 사람들의 공분을 사는 사람 또한 등장한다. 한편 미니멀리스트들과 정리 전문가들은 이러한 기회를 놓치지 않고 디클러터링, 미니멀리즘을 전파하고 있다. (Spring cleaning 시기와 겹쳐 많은 사람들이 정리에 대한 욕구가 넘쳐나는 것과 맞물리기도 했다.)
LA Times에 소개된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 동안 집 디클러터링하는 팁을 소개하고 있다.
Expert tips on decluttering your home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ic
People are decluttering while hunkering down at home. An expert shares tips on how to get organized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ic.
www.latimes.com
정리 전문가이자 전 심리치료사인 Marla Stone이 소개하는 자가격리 중에 디클러터링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물건을 버리는 것에 집중하지 말라! (Don’t focus on getting rid of stuff)
• 좋은 결정을 내리는 것에 집중하자!
• 스스로에게 묻자! (이 물건이 유용하게 쓰이나? 목적에 맞게 사용되고 있나? 추억이 있는 물건인가? 얼마나 추억이 깃들어 있나?)
• 이 물건을 좋아하는가? (해당 물건을 좋아하거나 행복감을 준다면, 남겨둔다.)
• 10년 후를 생각해보자! (10년 후에도 이 물건을 사용할까? 계속 좋아할까? 나의 자녀들이 사용할까?)
2. 물건을 카테고리화하라! (Categorize your stuff)
• 물건들을 치우는 것과 정리하는 것은 동일하지 않다.
몰건을 카테고리별로 그룹화하는 것은 물건을 버리는 것에 도움이 된다.
- 스톤에 의하면 많은 의뢰인들이 이러한 과정을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정리되지 못한 채로 남아 있게 된다고 한다.
• 카테고리를 미세 조정하자! (이러한 방법으로 질서를 잡을 수 있다. 책을 정리하고, 욕실 물품은 지퍼백에 담고, 전기 코드는 통에 넣는 방식으로 정리하여 가지고 있는 물건이 무엇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실제로 사용하는 것에 집중하자! (몇 개의 분쇄기를 가지고 있나? 몇 개의 접시를 가지고 있나? 이러한 물건들이 16년간 그 자리에 그대로 있지는 않았는가? 이러한 물건들을 위한 공간을 가지고 있거나 추억이 있다면, 남기고 그렇지 않다면 버려라.
3. 깨끗한 통을 사용하라! (Use clear bins)
• 깨끗한 통에 보관하는 것은 중요하다. (물건이 박스나 봉지에 보관될 경우, 안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알 수 없다.)
4. 차고 (The garage)
• 차고는 정리하기 가장 중요한 공간이다.
- 스톤은 처음 정리 시작의 장소로 차고를 추천한다.
• 카테고리화하고 명확하고 간결한 기준을 사용하자!
- 스스로에게 묻자! (이 물건을 사용할 것인가? 얼마나 사용할까? 용도에 맞게 사용되고 있는가? 추억이 깃든 물건인가?)
• 캠핑장비를 가지고 있지만 캠핑을 하지 않는다면 스스로에게 묻자! (이 물건이 내 공간에서 무엇을 하는가? 이에 대한 답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라면, 처분한다.
5. 인테리어 공간 (Interior spaces)
• 부엌 캐비닛, 옷장 및 욕실 캐비닛에 매일, 매주 또는 매월 사용하는 항목만 둔다.
• 크리스마스용 접시와 같이 일 년에 한두 번만 사용하는 물건이 있으면 보관함에 넣고 일상용품과 다른 공간에 보관한다.
6. 홈 오피스 (Home office)
• 일일/주별/월별로 사용하는 물건은 무엇인가? 사용하지 않는 것은 보관함에 넣는다. 보관함이 없다면 이러한 물건들을 위한 공간은 없다. 고로 비운다.)
• 오피스 정리가 끝나면 중요한 서류를 정리하자! (물건으로 가득 찬 환경에서는 서류를 카테고리화 할 수 없다.)
7. 친환경적으로 생각하자! (Think green)
• 다시 사용될 수 있는 물건을 쓰레기통, 쓰레기 수거통 또는 쓰레기 트럭에 바로 넣지 말자! (이러한 물건들을 사용할 수 있는 개인이나 단체를 찾아본다.)
• 무료 전자 폐기물 및 유독성 폐기물 처리 센터 이용을 고려하자!
8. 지금 기부할 장소를 찾자! (Where to donate now)
• 지역 굿윌스토어나 기부센터가 닫았다면 당근마켓이나 중고나라 무료드림을 이용해보자! (참고) 한국용으로 의역함
• 가족, 친구, 이웃에 물건을 나누자!
9. 물건을 판매하자! (Selling your stuff)
• 소셜 미디어 판매와 온라인 소스를 이용하여 물건을 판매하여 수익을 낼 수 있다.
• 손상, 긁힘, 변색 또는 냄새를 포함하여 판매 중인 물건에 대해 명확하게 알린다.
• 이러한 물건들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라면 물건에 대해 검색해보고 충동구매가 아닌지 생각해보자. 물건을 고를 때 주의한다.
• 사람들이 서로 원하는 것을 물물 교환하는 온라인 거래 그룹을 사용해보자!
기사에 대한 오역과 의역이 있을 수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미니멀리즘 & 미니멀 라이프 > 외국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역] 작은 집에서 살면 좋은 7 가지(7 Benefits to Living in a Smaller Home) (0) | 2020.03.16 |
---|---|
Matt D'Avella가 말하는 미니멀리즘의 이점 10가지 (2) | 2020.03.06 |
[번역/편집] 가장 인기있는 6가지 디클러터링=정리(decluttering) 방법(2) (0) | 2019.09.15 |
[번역/편집] 가장 인기있는 6가지 디클러터링=정리(decluttering) 방법(1) (0) | 2019.09.14 |
[번역] 미니멀리즘 5가지 유형(5 Types of Minimalism) (0) | 2019.07.14 |